posted by ok99 2012. 12. 28. 16:47

공복에 배고품을 즐겨라

 

잠시 '꼬르륵' 소리가 나는 시간을 즐기는 것이 좋다.

 

이때야말로 '생명력 유전자' 중의 하나인 '시르투인(장수) 유전자'가 발현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유전자가 발현될 때 나는 몸 전체를 스캔하여 망가진 곳을 회복시키고 젊고 건강해지고 있다는 이미지를 연상하려고 한다.

 

기아 상태에 처했을 때는 '검약 유전자'가 활발히 활동하여 영양 효율이 무척 좋은 상태가 된다.

 

따라서 소량의 식사만으로도 충분히 내장지방이 붙어 몸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낮 동안에는 배가 고프지 않으면 아무것도 먹지 않고, 목이 마르지 않으면 아무것도 마시지 않는다.

 

즉, 자신의 몸이 말하는 소리에 귀를 기울이면 된다.

 

 반대로 목이 바싹바싹 마르면 물을 마셔도 좋고 배가 꼬르륵 하고 울리면 조금쯤은 먹어도 상관이 없다.

 

장속에는 선옥균과 악옥균이 있다.

 

과식을 하면 악옥균이 활성을하며 소식을하면 선옥균이 활성된다.

 

또한 소식을하면 장관에서 분비되는 세균 억제(bacteriostasis) 물질들의 작용에 의하여 세균을 억제하여 악옥균의 활성을 억제할 수 있지만 과식을하게되면 이러한 작용의 기능이 떨어지고 악옥균들의 활성이 높아지게 된다.

 

또한 선옥균은 장내에 먹이원이 없게되면 선옥균들이 서로 공존공생하는 균들이 서로 뭉치게된다. 선옥균속의 균들이 서로의 분비되는 물질들을 먹고 배설하는데 이 과정에서 '시르투인(장수) 유전자' 대사물질들을 만들어내게 된다.

 

장수에 있어서 선옥균의 작용은 매우 중요하다.

 

내 몸에 장수 유전자 대사물질을 만들어 내는 선옥균의 비율을 높이는 노력을하여야 한다.

 

선옥균은 우리가 먹는 발효음식이 가장 잘 발효된 상태일때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

 

발효음식을 즐겨 먹으면 장속 선옥균의 비율이 높아진다.

 

얼마전 식약청의 발표에서도 발효식품을 즐겨먹는 장수마을 사람들의 장관에 유산균과 같은 선옥균들의 균총이 도시인들에 비하여 3~5배가 많다는 연구결과도 발표된다 있다.

 

장내 선옥균의 비율을 높이는 것이 장수 비법 이다.

posted by ok99 2012. 12. 28. 16:10

보건복지부와 중앙암등록본부는 국가암등록통계사업을 통해 우리나라 국민의 2010년 암발생률, 암생존율, 암유병률 통계를 발표했다.

 

2010년 일년 동안 암으로 진단받은 암발생자는 202,053명(남 103,014명, 여 99,039명)으로 2009년 194,359명 대비 4.0%, 10년 전인 2000년 101,772명 대비 98.5% 증가했다.

 

남자는 위암, 대장암, 폐암, 간암, 전립선암 순이었고 여자는 갑상선암, 유방암, 대장암, 위암, 폐암 순으로 '09년과 동일했다.

생존율은 지속적으로 향상되어, 최근 5년(2006~2010년) 암환자의 5년 생존율은 64.1%로, 2001~2005년 5년 생존율 53.7% 대비 10.4%p 향상됐다.


2001~2005년 발생 암환자의 10년 생존율은 49.4%로, 1996~2000년 10년 생존율 40.6% 대비 8.8%p 향상됐다.

 

전국단위 암통계가 처음 집계된 1999년부터 2010년까지 암을 진단받고 2011년 1월 1일 현재 생존하고 있는 암유병자는 총 960,654명으로 암치료를 받고 있거나 암완치 후 생존하고 있는 암경험자수가 약 100만 명에 육박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2010년 신규 암환자수는 남자 103,014명, 여자 99,039명으로 총 202,053명으로 집계되었다.

 

남녀를 합해 2010년에 가장 많이 발생한 암은 갑상선암이었으며, 다음으로 위암, 대장암, 폐암, 간암, 유방암, 전립선암 순으로 많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남자는 2009년(100,086명)에 비해 암환자수가 2,928명 증가하였는데, 이 중 갑상선암 1,030명(35.2%)과 전립선암 444명(15.2%)이 남자 암발생자수 증가의 50%를 차지했으며, 여자의 경우 2009년(94,273명) 대비 4,766명이 증가, 이 중 갑상선암 2,702명(56.7%)과 유방암 735명(15.4%)이 여성암 증가의 70% 이상을 차지했다.

 

암세포는 누구나가 가지고 있다.

 

하지만 이 암세포를 억제하는 면역세포들이 정상적으로 활동되고 있기 때문에 암질환에 걸리지 안는 것이다.

 

암세포를 제거하고 억제하는 것은 우리몸의 면역력 덕분이다.

 

그렇다면 면역력을 높이는 방법으로 가장 중요한 것은 장내 세균총 조합에서 선옥균의 비율을 높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장내 선옥균은 유아기때는 90%가 넘지만 많은 사람들이 보통은 10%대에 불과하다. 선옥균은 면역세포를 활성하고 면역력을 높여주며 장속에 악옥균을 억제하는 작용을 한다.

 

선옥균과 악옥균은 전쟁을 한다. 선옥균의 비율이 높으면 악옥균이 억제되며 악옥균의 비율이 높으면 선옥균이 억제된다.

 

선옥균은 소화효소를 만들어내고 면역력을 높일 수 있는 적혈구와 백혈구를 건강하게 한다.

 

반면 악옥균은 섭취한 음식을 부패시키고 내독소 400여가지를 생성시켜 이러한 내독소가 혈류를 타고 온몸으로 퍼져 암세포를 제거하고 억제하는 면역세포를 교한시킨다.

 

악옥균의 비율이 높은 상태가 지속되면 내독소 400여가지의 독소가 사이토카인의 작용을 교란시켜 혈액내 침입한 각종 바이러스 및 암세포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지 못해 암이 유발될 수 있다.

 

점점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줄어드는 선옥균의 비율을 높여 면역력을 높이는 치료에 선옥균 발효한약이 조제 처방되기도 한다.  

posted by ok99 2012. 12. 28. 15:54

사과 속 폴리페놀 효능


사과에 함유된 폴리페놀은 애플페논이라고도 하는데 그 성분 중에 '에피카테킨'이라는 물질이 있다.

 

녹차에도 함유되어 있는 카테킨류의 일종으로서 카테킨류 중 가장 활발한 작용을 하는 성분이다.

 

카테킨에는 살균, 콜레스테롤치 저하, 혈당치 상승 억제 등의 효과가 있다.

 

녹차의 카테킨이 많이 알려져 있지만 녹차에 들어 있는 에피카테킨은 분자량이 작은 단량체로 존재하여 말하자면 적과 싸울 때 일대일로 상대하는 형태이다 보니 큰 힘을 발휘하지 못하는 약점이 있다.

 

이에 반해 사과에 있는 에피카테킨은 수많은 단량체로 구성된 다량체로 존재하여 암의 근원이 되는 활성산소에 맞서서 집단으로 대적하므로 활성산소를 퇴치하는 힘이 더 크게 발휘된다.

 

이엠생명과학연구원 서범구 원장의 연구에 따르면, 사과의 에피카테킨은 과육 부분보다 껍질에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껍질에 함유된 양은 과육의 4배나 된다고 한다.

 

에피카테킨을 충분히 흡수하여 효과를 얻으려면 사과는 역시 껍질째 먹어야 한다.

 

에피카테킨은 물에도 열에도 강하지만 공기에는 약하여 산화되기 쉽다.

 

갈거나 껍질을 깎은 사과를 그대로 방치했을 때 금세 갈색으로 변하는 이유는 에피카테킨이 공기에 닿아 산화하기 때문이다.

 

사과가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일상생활에서 자주 쓰이는 방법은 '소금물에 담그기'다. 약알칼리성을 띠는 소금물에 담그어 중화시키는 것이다.

 


에피카테킨을 함유하는 애플페논은 입냄새의 주성분인 메틸메르캅탄을 억제한다.

 

아토피성 피부염 등 알레르기 증상의 원인이 되는 히스타민을 억제하고 체내에서 발생하는 활성산소를 억제한다.

넷째,

 

애플페논은 소장에서 산화 콜레스테롤의 흡수를 억제하며 고혈압을 예방과 충치를 방지하고 치아를 형성하는 에나멜질의 붕괴를 막아주고 기미·잡티·주근깨 등의 원인이 되는 멜라닌 색소의 형성을 억제함은 물론 미백 효과와 필수지방산인 리놀산의 산화를 방지한다.

 

밤에 먹는 사과는 백설공주 사과?

 

밤에 먹는 사과가 독이 될 수 는 없다.

 

밤에 열량이 들어 있는 음식을 먹는 것이 아침이나 낮에 먹는 것보다 좋을 것 없듯이 단지 밤에 사과를 먹는다고하여 독이 되지는 않는다.

 

이엠생명과학연구원 서범구 원장은 밤에는 우리 몸이 에너지를 저장하는 쪽으로 몸이 바뀌어서 밤에 먹는 음식이 체지방으로 저장될 가능성이 높다.

 

꼭 사과에만 해당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그는 또 "사과 영양분 중 상당부분이 탄수화물인데 이 중 70%가 과당"이라며 "과당은 간에서만 사용되므로 비교적 남게 되는 열량이 많게 되고 이것이 체지방으로 저장돼 이런 특징 때문에 밤에 먹는 사과가 독이 된다고 생각하게 된것 같다고 말했다.

손 교수는

 

서원장은 "아침에 먹는 사과가 더 낫다는 말을 강조하기 위해 생겨난 말일 것으로 생각된다"며 "밤에 먹는 사과가 독이라고 생각할 필요까지는 없다"고 했다.